교육목표
건축은 전국 대학의 교과과정 중 가장 일반적인 과정이 되어 있다. 산업화의 물결 속에서 역사적 배경을 잊은 채 지내온 결과 현재, 전통건축에 대해 심도 있게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는 설계자, 기술자, 관리자 등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전통건축학과는 이러한 문제점을 깊이 인식하고 목조건축물 양식의 시대적 변화를 충분히 반영할 수 있는 복원 설계자, 전통건축의 형태와 공간감을 충분히 이해하여 현대 건축물 설계에서 한국건축의 특성을 표현할 수 있는 설계자, 보수, 시공현장에서 목구조 내부의 힘의 흐름, 재료의 특성, 구조 형식의 특성 등에 대해서 충분히 이해하고 보수, 시공할 수 있는 전문가의 양성을 교육목표로 한다.
교육과정
이론교육을 바탕으로 현장 실습 교육과 전문교육을 실시
전통건축과 현대건축, 응용건축을 바탕으로 설계분야 및 공학분야로 분류하여 심층적 교육을 실시한다. 건축설계분야는 복원설계와 현대설계의 병행수업으로 상호연계성을 습득하여 응용설계로의 창조력을 배양한다. 건축공학분야는 기초공학과 역학적 이해를 통한 전통건축 구조물의 공학적 해석력을 양성시키며 환경변화에 따른 목조건축양상을 실험하여 분석력과 직관력을 함양시킨다.
전통건축 관련 연구 인력 양성을 위한 학·석사 연계과정 실시
전통건축의 심화 교육을 위한 과정으로서, 석사학위 취득까지 총 6년 걸리던 것을 5년으로 단축하여 학사와 석사학위 모두를 취득 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이다. 학부의 우수한 학업 성취자들 중 일부를 선발하여 운영한다.
- 설계분야
- 전통건축설계입문, 한옥주택설계, 사찰전시장설계, 관방복원설계, 전통집합주거설계, 고대가람복원설계, 전통건축복원·응용설계 등
- 공학분야
- 건축역학, 전통건축결구, 대목입문, 전통건축환경, 전통목구조3D설계, 졸업논문지도, 민가·사찰·궁궐부재 가공 및 시공 등
- 공통영역
- 현장실습 Ⅰ·Ⅱ, 한국건축역사, 전통건축계획, 전통건축실측, 서양건축사, 전통목조건축 이론 및 시공, 전통석조건축 이론 및 시공, 전통건축CAD기초 등
- 담당부서 : [대학] 전통건축학과
- 연락처 : 041-830-7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