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페이지 검색

전체메뉴

전체메뉴닫기
대학원소개
일반대학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미래문화유산대학원
일반대학원
전통건축학과
전통미술공예학과
문화유산융합학과
국제문화유산협동과정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문화유산산업학과
국제문화유산협동과정
미래문화유산대학원
도시문화경영학과
전통문화활용교육학과
한국정원문화콘텐츠학과
학사안내
대학원학사일정
교육과정
교내·외장학금
증명서발급
등록안내
커뮤니티
공지사항
자료실
  • 공유
    • 트위터
    • 페이스북
    닫기

교수소개

김경택 교수

  • 직위(직명) : 원장
  • 학사학위 :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1990)
  • 석사학위 : University of Oregon 인류학과(1994)
  • 박사학위 : University of Oregon 인류학과(2002)
  • 담당과목 : 고고학강독Ⅰ 등

저서

  • 『동북아 청동기시대 문화 연구』공저
  • 『한국 복합사회 연구의 비판적 검토와 전망』
  • 『Emergence of Sociopolitical Differentiation in Korean Prehistory』
  • 『한성시대 백제와 마한』공저
  • 『고고학의 이론과 방법론』역서
  • 『족장사회의 정치권력』역서
  • 『구미고고학의 관점에서 본 한국고고학』역서

논문

  • 「전남지방의 마한·백제시대의 주거지 연구」
  • 「A Critical Review of on Korean Archaeological and Historical Literature on Socio-political Development in Ancient Korea」
  • 「한국 지석묘사회 연구의 이론적 배경」
  • 「한국 복합사회 연구의 비판적 검토와 전망」
  • 「A critical review of discussions on the complex society in Ancient Korea」
  • 「송국리 54지구 고상건물의 형식추론」
  • 「부여 송국리유적 수혈의 기능」
  • 「泗沘都城의 排水體系 變遷에 대한 試論的 檢討」외 다수

서현주 교수

  • 직위(직명) : 학과장
  • 학사학위 : 전남대학교 사학과(1991)
  • 석사학위 :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1996)
  • 박사학위 :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2006)
  • 담당과목 : 한국 역사고고학특강Ⅰ등

저서

  • 『영산강 유역 고분 토기 연구』
  • 『백제와 영산강』공저
  • 『유공소호(고대인의 바람과 다짐이 깃든 성스러운 토기)』공저
  • 『백제와 섬진강』공저
  • 『영산강 유역 고대문화의 성립과 발전』 공저

논문

  • 「영산강유역 장고분의 특징과 출현배경」
  • 「4~6세기 백제지역과 일본열도의 관계」
  • 「삼국시대 아궁이틀에 대한 고찰」
  • 「완형토기로 본 영산강유역과 백제」
  • 「3~5세기 금강유역권의 지역성과 확산」
  • 「湖南西部地域 考古學資料를 통해 본 熊津期의 百濟硏究」
  • 「영산강유역권의 가야계 토기와 교류 문제」
  • 「백제 한성기 타날문 단경호의 지역성과 교류」외 다수

이기성 교수

  • 직위(직명) : 교수 , 학과장
  • 학사학위 : 한양대 독어독문학과(1997)
  • 석사학위 : 서울대 고고미술사학과(2000)
  • 박사학위 : 立命館大學 文學硏究科(2007)
  • 담당과목 : 선사문화1, 고고학연구법
  • 연구실 : G동 302호
  • 전화번호 : 041-830-7352

저서

  • 2011,『한국선사시대 사회와 문화의 이해』 (공저)

논문

  • 「석기석재의 선택적사용과 유통 - 일본 오사카평야 지역을 중심으로」
  • 「일본 죠몽·야요이 전환기의 석기 변화 - 킨키지방을 중심으로 -」
  • 「일본 죠몽·야요이 전환기 연구 방법론의 검토 - 문화요소의 확산과 수용 방식을 중심으로 -」
  • 「Comparision of the Periodization Methodologies of the Korean Bronze Age and the Japanese Yayoi Period」
  • 「朝鮮總督府의 古蹟調査委員會와 古蹟及遺物保存規則 -日帝强占期古蹟調査의 制度的 裝置(1)」
  • 「일제강점기 ‘金石竝用期’에 대한 일고찰」
  • 「일제강점기 ‘石器時代’의 조사와 인식」
  • 「초기 북한 고고학의 신석기·청동기시대 구분 - 일제강점기 고고학의 극복과 문화전파론 -」
  • 「문화사적 시기 구분으로의 무문토기시대 조기 설정 재검토」

김현정 교수

  • 직위(직명) : 교수
  • 학사학위 : 부산대학교 일어일문학과(93 학사)
  • 석사학위 : 일본 국립오카야마대학교 대학원 문학연구과(96 석사)
  • 박사학위 : 일본 국립오카야마대학교 대학원 문화과학연구과(99 박사)
  • 담당과목 : 4차산업혁명과문화유산콘텐츠, 문화유산콘텐츠기획론

논저

  •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의 콘텐츠 활용 현황에 대한 한일 비교 연구 - 김장문화와 와쇼쿠(和食)를 중심으로 -(2018)
  • ‘서울미래유산’과 일본 ‘프로젝트 미래유산’의 한일 비교연구(2020)
  • 가고시마현 3대 무사가옥군의 관광콘텐츠 활용현황 비교 연구(2020)
  • 일본 무형문화재 및 무형민속문화재 등록제도 신설에 대한 고찰(2022)
  • 일본 무형문화재 및 무형민속문화재 등록제도 신설에 대한 고찰(2022)

기타경력

  • 한국저작권위원회 선임연구원 역임
  • 서울시청 ‘서울문화관광 해설사’ 교육 및 현장실습 평가위원(2009, 2010)
  • 문화재청 ‘문화유산 정보 외국어 번역’ 자문위원(2011-2012)
  • 문화재청 ‘문화유산 정보서비스 개선사업’ 자문위원(2012-2013)
  • 문화재청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문화유산관광안내 서비스 구축’ 사업 자문 및 감수위원(2014)
  • 문화재청 ‘문화유산 정보서비스 개선(모바일 부문) 사업’ 자문위원 (2015)
  • 백제문화제 추진위원회 자문위원(2015-2018)
  • 충청북도 문화재위원회 전문위원(2016-2017)
  • 세종특별자치시 무형문화재위원회 전문위원(2018-2024)

서재권 교수

  • 직위(직명) : 조교수
  • 학사학위 : 인하대학교 법학과(2003)
  • 석사학위 : 인하대학교 지적재산권학과(2006), 미국 워싱턴대학교(University of Washington) 법학과(2011)
  • 박사학위 : 인하대학교 지적재산권학과(2016)
  • 담당과목 : [대학] 한국문화재법제, 세계유산관리론, 문화재와 문화정책 [대학원] 문화유산국제협력론, 문화유산정책분석

논저

  • 『예술과 저작권(Ⅰ)(Ⅱ)』(공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08, 2009)
  • 『디자인의 보호범위 확대와 그 한계에 관한 연구』(한국저작권위원회, 2012)
  • 『문화유산법개론』(공저, 박영사, 2020)
  • 무용의 저작권법적 보호범위에 관한 고찰(무용기록학회, 2009)
  • 문화콘텐츠 수출현황 진단과 통상법적 과제(정보법학, 2018)
  • 디자인 개념 확대에 따른 디자인보호법 개정방향 제안(지식재산연구, 2018)
  • 세계의 문화유산 등재 전쟁과 우리의 문화재 정책방향 검토(법학연구, 2019)
  • 무형문화유산의 사적(私的) 보호의 한계(정보법학, 2019)
  • 문화재의 국제거래 관점에서 본 국외소재문화재 정책 검토(국제사법연구, 2020)
  • 경매를 통한 문화재 거래의 법적 쟁점 검토(정보법학, 2022)
  • 무형문화유산 보호를 위한 지식재산권법적 접근과 경계의 변화 검토(무형유산, 2022)

기타경력

  • 한국저작권위원회 선임연구원 역임
  • 민간경력채용(5급) 3기
  • 문화체육관광부 행정사무관 역임
  • 자유무역협정(FTA) 문화서비스분과 협상(2014-2019) 대표
  • 세계지식재산기구(WIPO) 외교회의 협상(2013) 대표
  • 대한황실지식재산보호위원회 위원
  • 국가지식재산위원회 전문위원
  • 한국지식재산학회 이사
  • 국가자격시험 출제위원

이도학 교수

  • 학사학위 : 동국대학교 사학과(1982)
  • 석사학위 : 연세대학교 사학과(1984)
  • 박사학위 : 한양대학교 사학과(1991)
  • 담당과목 : 한국고대사연구 등

저서

  • 역사가 기억해주는 이름
  • 백제고대국가연구
  • 한국 고대사, 그 의문과 진실
  • 살아있는 백제사
  • 광개토대왕비문 연구
  • 불교의 나라 백제 사비성
  • 누구를 위한 역사인가
  • 태양의 나라 고구려유적 공저
  • 백제 한성․웅진성 시대 연구
  • 백제 사비성 시대 연구

논문

  • 임나제국내 '가야연맹'의 세력변천과 대외관계
  • 백제시조 온조설화에 대한 검증
  • 공산성 출토 칠갑의 성격에 대한 재검토
  • 단군 국조의식과 경역인식의 변천」
  • '광개토왕릉비문’의 역사적 성격과 특징
  • 馬韓 殘餘故地 前方後圓墳의 造成 背景
  • 廣開土王代 南方 政策과 韓半島 諸國 및 倭의 動向
  • 백제 사비도성과 ‘정림사’ 외 다수

정상철 교수

  • 직위(직명) : 부교수
  • 학사학위 : 경북대학교 경제학과 학사(1994)
  • 석사학위 : 경북대학교 대학원 경제학과 석사(1999)
  • 박사학위 : 미국 클레어몬트대학교 경제학과 박사(2009)
  • 담당과목 : [문화재관리학] 경영정책평가방법론

저서

  • 『문화경제의 창의성과 혁신』(공역, 커뮤니케이션북스, 2010)
  • 대중예술의 이해』(공저, 집문당, 2002)

논문

  • 문화상품 수출의 연관효과 (문화경제학회, 2013)
  • 문화산업정책과 국가전략 (한국행정학회, 2012)
  • 기업전략과 성과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문화경제학회,2011)
  • Does the Star Power Matter? (Applied Economics Letters, 2010) 등

정석배 교수

  • 학사학위 : 한양대학교 사학과
  • 석사학위 : 국립모스크바대학교 고고학과(1994)
  • 박사학위 : 국립모스크바대학교 고고학과(1998)
  • 담당과목 : 고고학

저서

  • 『북방유라시아대륙의 청동기문화』
  • 『세계의 모든 문양』역서
  • 『몽고의 선사시대』역서
  • 『연해주의 고고학』역서
  • 『연해주 여진의 주거 건축』역서

논문

  • 「연해주의 초기철기문화와 한반도 -끄로우노브까문화를 중심으로- 」
  • 「연해주 체르냐찌노 5 발해고분군의 고분유형과 출토유물」
  • 「연해주 청동기시대 연구현황에 대한 소고」
  • 「선사시대 유라시아 대륙의 말 사육과 기마술의 발전에 대해」
  • 「先 흉노-스키타이 세계 小考」
  • 「아무르·연해주 지역의 말갈 –연구현황과 과제-」
  • 「연해주 발해시기의 유적 분포와 발해의 동북지역 영역문제」
  • 「연해주 체르냐찌노 2 유적의 구들에 대해」외 다수

최영성 교수

  • 직위(직명) : 교수
  • 학사학위 :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과(1985)
  • 석사학위 :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과(1993)
  • 박사학위 :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과(1996)
  • 담당과목 : 천공개물강독Ⅰ, 천공개물강독Ⅱ, 무형유산사료강독, 한국민속예술론, 무형유산과 삼국유사

저서

  • 「최치원의 철학사상」
  • 「역주 최치원 전집」(전 4권)
  • 「한국유학통사」(전 3권)
  • 「한국의 학술연구」(공저)
  • 「한국철학사상사」외 다수

최종호 교수

  • 학사학위 : 안동대학교 민속학과 문학사 (1984)
  • 석사학위 : 영남대학교 대학원 문화인류학과 민속학석사(1989)
  • 박사학위 : 인도 바로다 대학교(M.S. University of Baroda) 예술대학 박물관학과 박물관학 박사 (1995; 제96-0186호)
  • 담당과목 : [대학원] 문화정책과 박물관경영론, 문화재보호와 국제협력론, 문화재경영정책론, 지역전통문화산업발전전략연구, 문화재해석과스마트경영연구, 문화재수장품관리정책론, 전통문화자원지식재산권관리론, 글로벌문화재마케팅론, 문화재전시기획론, 문화재해석교육론, 다문화콘텐츠마케팅론, 문화재전시연계교육론

저서

  • 『박물관 실무지침』(한국박물관협회, 2000)
  • 『박물관의 이론과 실제; 박물관 실무 지침 (2)』(2004)
  • 『민속학 개론』(2005)
  • 『문화인류학 개론』(2007)
  • 공저『한국박물관교육학』(2010)
  • 공저『인류에게 왜 박물관이 필요했을까?』(2013)
  • A Safeguarding System for Cultural Heritage in Korea: Focused on the Activities of Restoration, Transmission and Protection of Designated Cultural Properties (2012)
  • 『문화재관리학의 이해』(공저, 한국전통문화대학교, 2017)
  • 『박물관학: 디지로그 유산과 스마트박물관』(북코리아, 2018)

논문

  • 「韓國人의 還甲儀禮硏究」(1989)
  • 『DNAGI CULTURE THROUGH MUSEUMS : Collection, Documentation and Interpretation of Material Culture of the Tribal Communities of Dangs』(1994)
  • 「박물관 에듀케이터의 다문화 역량 강화」(2011)
  • 「문화재교육의 프로그래밍 방법론 연구」(2011)
  • 「백제역사유적지구 부여, 유형·무형 유산의 통합적 보전과 활용」(2011)
  • 「개화기부터 1945년까지 뮤지엄과 엑스포 정책 연구」(2012)
  • 「부여의 무형문화유산 보호와 활용에 관한 연구」(2012)
  • 「문화재교육사와 문화예술교육사의 자질과 역량, 자격제도에 관한 연구」(2013)
  • 「부여고도보존육성사업의 추진정향과 기대효과」(2013) 외

수상내역

  • 1999.12.27 문화관광부장관 표창(제99-1947호)
  • 2002.12.23 문화관광부장관 표창(제2002-2280호)
  • 2015.04.17.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총장 표창(제2015-24호)
  • 2017.12.01. 서울특별시장 표창(제5375호)

기타경력

  • 순천향대학교 인문대학 민속학ㆍ박물관학 겸임교수 역임
  • 명지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박물관학과 주임교수 역임
  •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박물관미술관학과 겸임교수 역임
  • 한국민속촌박물관 관장ㆍ한국민속촌 이사 역임
  • 문화재청 문화재전문위원 (무형문화재분과) 역임
  • 백제역사재현단지 전시총감독 역임
  • 국가지식위원회 신지식전문위원회 위원 역임
  • 서울하수도과학관 총괄계획가(MP) 역임
  • 국제저널 무형유산 (IJIH) 편집위원 역임
  • 백제문화제 추진위원장 역임
  • 백제문화제 추진위원장
  • ICOM-KOREA 집행위원
  • 충청남도 문화재위원
  • 세종시 문화재위원
  • 한국박물관학회 회장
  • 무형유산학회 부회장
  • 국제문화교육센터 센터장
  • 문화유산대학 학장